본문 바로가기
상표 이야기

“daum”상표 소송 대법원 사건 (주)카카오 대리하여 특허청 상대 승소

by 異空(이공)특허 2016. 10. 18.

 

 

 

“daum”상표 소송 대법원 사건 (주)카카오 대리하여 특허청 상대 승소

 

 

 

 

 

 

 

저희 이공특허법률사무소가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주식회사 카카오)를 대리하여 

특허법원과 대법원에서 모두 승소한 상표사건의 판결문을 공유 드립니다.

 

 

【판시사항】

특허청 심사관이 ‘내려받기 가능한 전자 출판물’ 등을 지정상품으로 하는 갑 주식회사의 출원상표 "

에 대하여 ‘포장용지’ 등을 지정상품으로 하는 선등록상표 

과 표장 및 지정상품이 유사하여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거절결정을 하였고갑 회사가 불복심판을 청구하였으나 특허심판원이 기각하는 심결을 한 사안에서출원상표가 선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특허청 심사관이 ‘내려받기 가능한 전자 출판물’ 등을 지정상품으로 하는 갑 주식회사의 출원상표 “

에 대하여 ‘포장용지’ 등을 지정상품으로 하는 선등록상표 

 과 표장 및 지정상품이 유사하여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거절결정을 하였고갑 회사가 불복심판을 청구하였으나 특허심판원이 기각하는 심결을 한 사안에서출원상표와 선등록상표는 외관이 서로 다르고호칭도 ‘다음’과 ‘다움’으로 서로 다르며관념에 있어서도 출원상표는 호칭인 ‘다음’에 의하여 ‘어떤 차례의 바로 뒤’라는 의미를 연상시키거나 갑 회사의 포털사이트 광고에 의하여 일반수요자에게 ‘모으다잇다’ 등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반면에 선등록상표는 ‘아름다움’‘사내다움’과 같이 어떤 성질이나 특성이 있음을 의미하므로 서로 달라서 출원상표와 선등록상표는 표장이 서로 다르고출원상표를 접한 수요자는 상품의 출처를 갑 회사로 인식할 것으로 보이고 출원상표와 선등록상표는 거래사회에서 구체적으로 상품의 품질이나 출처에 관하여 오인·혼동을 일으킬 염려가 없어출원상표는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에서 정한 선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에 해당하지 않으므로심결이 위법하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전 문】

【원 고】주식회사 카카오 (소송대리인 변리사 권영준)

【피 고】특허청장

 

 

 

【변론종결

2015. 11. 27.

 

 

 

【주 문】

1. 특허심판원이 2015. 7. 3. 2014원7583호 사건에 관하여심결을 취소한다.

2. 소송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청구취지

주문과 같다.

 

 

【이 유

1. 기초 사실

 

이 사건 출원상표

1)출원일/출원번호: 2013. 12. 16./(출원번호 1 생략)

 

2) 구성

 

3) 지정상품상품류 구분 제9류의 내려받기 가능한 전자 출판물내려받기 가능한 전자서적노광(노광) X-선필름

 

 

선등록상표

1) 출원일/등록일/등록번호: 1999. 6. 11./2000. 9. 30./(출원번호 2 생략)

 

2구성

 

3지정상품상품류 구분 제16류의 포장용지한지인쇄활자서적소책자정기간행물그림글씨브로마이드사진

4) 등록권리자사단법인 다움문화예술기획연구회

 

이 사건 심결의 경위

1) 원고의 이 사건 출원상표에 대하여 특허청 심사관은 2014. 11. 7. 선등록상표와 표장 및 지정상품이 유사하여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거절결정을 하였다.

2) 이에 원고는 2014. 12. 5. 특허심판원에 위 거절결정에 대한 불복심판(2014원7583호)을 청구하였는데특허심판원은 2015. 7. 3. ‘이 사건 출원상표는 선등록상표와 호칭이 동일 내지 유사하여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상품의 출처를 같이 하는 것으로 오인·혼동하도록 할 염려가 있으므로그 표장이 유사하고지정상품 또한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에 해당하여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심판청구를 기각하는 이 사건 심결을 하였다.

[인정 근거다툼 없는 사실갑 제내지 4호증갑 제7호증의 각 기재변론 전체의 취지

 

 

 

2. 당사자 주장의 요지

 

원고 주장의 심결취소사유

이 사건 출원상표의 표장은 원고의 주지·저명한 기업이미지(CI) 내지 로고로서 ‘다음’으로 호칭된다이 사건 출원상표는 선등록상표와 외관호칭관념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또한 일반 거래실정상 수요자들이 이 사건 출원상표와 선등록상표의 출처를 오인·혼동할 위험이 없다따라서 이 사건

출원상표는 선등록상표와 그 표장이 유사하지 아니하므로이와 달리 판단한 이 사건 심결은 위법하다.

 

 

피고의 주장

이 사건 출원상표는 ‘다음’ 또는 ‘다움으로 호칭될 수 있고이는 선등록상표의 호칭과 일반수요자가 출처의 오인·혼동을 일으킬 정도로 유사하다따라서 이 사건 출원상표는 선등록상표와 그 표장이 유사하고지정상품 또한 동일·유사하므로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에 해당한다.

 

 

 

3. 상표의 유사 여부

 

 

판단 기준

상표의 유사 여부는 그 외관·호칭 및 관념을 객관적·전체적·이격적으로 관찰하여 그 지정상품의 거래에서 일반 수요자나 거래자가 상표에 대하여 느끼는 직관적 인식을 기준으로 하여 그 상품의 출처에 관하여 오인·혼동을 일으키게 할 우려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므로대비되는 상표 사이에 유사한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당해 상품을 둘러싼 일반적인 거래실정과 상표의 주지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관찰할 때 명확히 출처의 혼동을 피할 수 있는 경우에는 유사상표라고 할 수 없다(대법원 2011. 12. 27. 선고 2010다20778 판결대법원 2013. 1. 24. 선고 2011다76778 판결 등 참조).

 

 

구체적 판단

1) 이 사건 출원상표의 호칭

갑 제내지 11호증갑 제14 내지 19호증의 각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원고는 1995. 2.경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이라는 상호로 설립된 이래 ‘다음’ 또는 ‘Daum'을 자신이 제공하는 웹메일검색뉴스 등 서비스의 명칭으로 사용하는 한편 이를 기업로고기업이미지(CI)로 사용해온 사실원고는 2013. 5.경부터 자신이 운영하는 포털사이트(www.daum.net)를 ‘Daum-모으다 잇다 흔들다'로 광고하고 있으며포털사이트 서비스 중 Daum 메일의 가입자만도 3,800만 명에 이르는 사실네이버 영어사전다음 영어사전 및 위키백과사전은 ‘Daum'을 ‘다음원고가 제공하는 인터넷 포털사이트'로 소개하고 있는 사실원고는

 

Daum'의 형태와 색깔을 다소 변형한 “

” 등을 상표,

 

서비스표 또는 기업이미지(CI)로 사용하여 왔고이 사건 출원표장 또한 2013. 11.경부터 서비스표기업이미지(CI)로 사용해오고 있는 사실이 인정된다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이 사건 출원상표는 원고의 기업이미지(CI)로서 주지·저명하고원고가 기업이미지(CI) 등으로 사용하는 표장이 거래사회에서 ‘다음’으로 호칭되고 있으므로이 사건 출원상표는 일반 수요자에게 ‘다음’으로 호칭된다(다움’으로 호칭될 것이라는 취지의 피고의 주장은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2표장의 유사 여부

이 사건 출원상표(

)와 선등록상표(

)는 그 외관이 서로 다르고호칭도 ‘다음’과 ‘다움’으로 서로 다르며관념에 있어서도 이 사건 출원상표는 호칭인 ‘다음’에 의하여 ‘어떤 차례의 바로 뒤’라는 의미를 연상시키거나 원고의 포털사이트 광고에 의하여 일반수요자에게 ‘모으다잇다’ 등의 의미를 연상시키는 반면에 선등록상표는 ‘아름다움’‘사내다움’과 같이 어떤 성질이나 특성이 있음을 의미하므로 서로 다르다따라서 이 사건 출원상표와 선등록상표는 표장이 서로 다르다.

 

 

3상품의 출처에 관하여 오인·혼동을 일으키거나 일으킬 염려가 있는지 여부

갑 제32호증의 기재에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면원고가 이 사건 심결일 현재 포털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출판물을 제공하는 ‘Daum 웹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실이 인정되고지정상품에 관하여 그 수요자들이 이 사건 등록상표와 선등록상표를 오인·혼동한 사례는 보이지 않는다여기에 앞서 본 원고의 영업 내용 및 규모사용하는 상표서비스표 및 기업이미지(CI)의 표장 등을 더하여 보면이 사건 출원상표를 접한 수요자는 그 상품의 출처를 원고로 인식할 것으로 보이고이 사건 출원상표와 선등록상표는 거래사회에서 구체적으로 상품의 품질이나 출처에 관하여 오인·혼동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4따라서 이 사건 출원상표는 선등록상표와 지정상품에 관하여 출처의 오인·혼동을 일으킬 염려가 없으므로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에서 정한 선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에 해당하지 않는다.

 

 

 

4결론

그렇다면 이와 달리 판단한 이 사건 심결은 위법하고그 취소를 구하는 원고의 청구는 이유 있으므로 이를 인용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판사   정준영(재판장최종선 장현진

 

 

 

(출처 : 특허법원 2015.12.18. 선고 2015허5432 판결 : 상고[거절결정(상)] > 종합법률정보 판례)

 

 

 

   본 게시물은 당소 고객 등을 위한 참조용 자료로서 법령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일부 내용이 사실과 다를 수 있고 실제 업무 적용 과정에서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본 게시물 내용의 당부에 대해서 어떠한 법적 책임도 부과될 수 없습니다또한이공특허법률사무소의 명시적인 허락 없이 본 게시물의 무단 전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공특허법률사무소(KWON & KIM Patent & Trademark Attorneys)

주소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309(서초동코리아비지니스센타) 713, 714

전화: 02-586-2019 | 팩스: 02-587-2019 | 메일mail@bspat.com | 웹사이트www.bspat.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