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허 이야기

우선권 증명서류의 전자적 교환에 관한 변경사항 안내 (2018.12 시행)

by 異空(이공)특허 2019. 1. 15.

 

 

 

 

 

(출처: 특허청 블로그)

 

 

 

● 개요

 

☞ 우선권 주장이란?

산업재산권을 1국에 최초로 출원한  정해진 기간(특허는 1디자인은 6개월내에 2국에 출원시 출원일을 1국의 출원일로 소급하여 적용하는 제도입니다.

 

 우선권 증명서류란?

산업재산권을 1국에서 먼저 출원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로서우선권주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1국으로부터 우선권 증명서류를 발급받아 2국으로 제출하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해당 서류가 1 특허청으로부터 발급되었음을 증명하는 “표지”와 1 출원의 출원서 사본으로 구성됩니다.

 

 우선권 증명서류의 제출방식

원칙적으로 출원인이 1 특허청으로부터 우선권 증명서류를 발급받아 서면으로 이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하지만주요국 특허청은 출원인의 편의를 도모하고자출원인이 신청하는 경우 출원인 대신 특허청간 우선권 증명서류를 전자적으로 교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선권 증명서류의 전자적 교환을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2 특허청에 출원시 이를 신청하면 별도의 서면제출 없이도 우선권 증명서류의 제출을 완료  있습니다.

 

 

● - 디자인 우선권 증명서류 전자적 교환 서비스 개시

 

한국특허청과 미국특허청의 우선권 증명서류 전자적 교환 서비스가 2018 12 1일부터 개시되었습니다.

 

이에 따라국내 출원인이 미국에 디자인을 출원할 경우우선권 증명서류를 미국 특허청에 직접 제출하지 않아도 되며출원서에 출원번호출원인, WIPO 접근코드를 기재하는 것만으로 한국 특허청과 미국 특허청이 출원인을 대신하여 해당 우선권 증명서류를 상호 온라인으로 교환하게 됩니다(기존 서면 우선권 증명서류 교환도 여전히 가능).

 

 

기존 (18.12.01 이전)

 

 

변경 (18.12.01 이후)

 

 

(서면교환) 출원인이 우선권 증명서류를 특허청에서 발급 받아 상대국 특허청에 국제 우편으로 제출

 

 

(전자적 교환) 출원인이 출원서에 출원번호 등 관련 정보를 기재하면 특허청간에 해당 우선권 증명서류를 찾아 온라인으로 교환

 

 

한국 특허청은 지난 2018 7 20일부터 중국 특허청과도 세계 최초로 양국간 디자인 우선권 증명서류의 전자적 교환을 개시한  있습니다.

 

 

● 특허 우선권 증명서류 교환 방식 일원화

 

국가에 따라 교환방식이 상이했던 특허 우선권 증명서류의 전자적 교환방식이 2018 12 1일부터 일원화되었습니다.

 

특허 우선권 증명서류는 현재 19개국과 전자적으로 교환되고 있습니다미국일본중국유럽(EPO, European Patent Office) 특허청과는 먼저 출원한 국가(1) 출원번호  출원일자 정보로 교환이 가능하며  특허청* 교환 시에는 1 특허청이 발급하는 WIPO 접근코드가 추가로 필요했습니다.

 

에스토니아스페인스웨덴호주영국덴마크핀란드인도모로코뉴질랜드브라질네덜란드칠레유라시아 특허청

 

2018 12 1일부터는 국가별로 상이한 교환방식에 따른 출원인의 혼동을 줄이고 교환되는 데이터의 정합성을 제고하기 위해 미국일본중국유럽 특허청과도 우선권 증명서류의 전자적 교환시 WIPO 접근코드를 추가로 사용하게 됩니다(기존 서면 우선권 증명서류 교환도 여전히 가능).

 

기존 (2018.12.01 이전)

 

 

변경 (2018.12.01 이후)

 

 

(미국일본중국유럽 특허청) 1국 출원의 출원국가출원번호출원일을 기재

 

 

(국가 구분 없음1국 출원의 출원국가출원번호출원일, WIPO 접근코드를 기재

 

 

(그 외 특허청) 1국 출원의 출원국가출원번호출원일, WIPO 접근코드를 기재

 

 

아래의 경우 2020 6 30일까지는 출원번호  출원일자 정보로 우선권 증명서류를 교환하던 기존 서비스를 사용할  있으며2020 7 1일부터는 반드시 WIPO 접근코드를 추가로 사용하여야 합니다.

 

미국일본중국유럽 특허청(1) 출원한 특허를 기초로 우리나라(2) 출원하는 경우

우리나라(1) 먼저 출원한 특허출원을 기초로 일본중국유럽 특허청(2) 후속 출원하는 경우

 

우리나라(1) 먼저 출원한 특허출원을 기초로 미국(2) 후속 출원할 경우에는 미국의 시스템 사정에 따라, 2018 12 1일부터 우리나라에서 발급받은 WIPO 접근코드를 미국 특허청에 반드시 추가로 제출하여야 우선권 증명서류의 전자적 교환이 가능합니다.

 

또한PCT 출원의 경우 기존과 동일하게 PCT 출원 시에 우선권 증명서류를 제출하였다면 국내단계진입 시에 추가로 증명서류를 제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본 게시물은 당소 고객 등을 위한 참조용 자료로서 법령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일부 내용이 사실과 다를 수 있고 실제 업무 적용 과정에서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본 게시물 내용의 당부에 대해서 어떠한 법적 책임도 부과될 수 없습니다또한이공특허법률사무소(KWON & KIM Patent & Trademark Attorneys)의 명시적인 허락 없이 본 게시물의 무단 전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공특허법률사무소(KWON & KIM Patent & Trademark Attorneys)

주소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309(서초동코리아비지니스센타) 713, 714

전화: 02-586-2019 | 팩스: 02-587-2019 | 메일mail@bspat.com | 웹사이트www.bspat.com

 

 

댓글